티스토리 뷰
리스트의 편의성을 위해 사용하는 여러가지 함수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배울 함수에 사용할 공통 리스트 ex_list = [1, 3, 2]이라고 하겠습니다.
append
우선 리스트에 값 추가를 위한 append 함수입니다.
ex_list에 값 5, 4 를 추가하려고 한다면 another_list = [5, 4] 라고 선언 후
ex_list.append(another_list) 또는 ex_list.append([5, 4]) 로 사용한다.
sort
두번째로 리스트를 정렬하기 위한 sort 함수입니다.
ex_list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ex_list.sort() 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reverse
세번째로 리스트를 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reverse 함수입니다.
ex_list의 요소를 역으로 출력하기 위해 ex_list.reverse() 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index
네번째로 리스트의 특정 값 위치 반환을 위한 함수 index입니다.
ex_list의 값 3 의 위치를 반환하기 위해서 ex_list.index(3)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만약 해당 리스트에 찾고자 하는 값이 없다면
오류를 출력하게 됩니다.
insert
다섯번째로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특정 값을 추가하는 함수 insert 입니다.
append와는 다르게 특정 위치에 추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ex_list의 3번째 자리에 값 4를 추가하기 위해서 ex_list.insert(2, 4)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의 첫번째 자리는 0부터 시작함을 유의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remove
여섯번째로 리스트의 내용 삭제를 위한 remove함수 입니다.
리스트의 모든 내용을 삭제하는것이 아닌 첫번째로 나오는 해당 값을 삭제합니다.
ex_list의 마지막에 3을 추가한 후 3을 삭제한다면 어느것이 삭제될까요?
ex_list.append(3) 후 ex_list.remove(3)을 해봅시다.
앞의 3이 사라졌군요
pop
일곱번째로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는 삭제하는 pop 함수입니다.
ex_list.pop()을 사용한다면 ex_list의 마지막값인 2를 반환한 후 리스트에서 2를 삭제하게 됩니다.
count
마지막으로 리스트 내의 특정 요소 개수를 세는 count 함수입니다.
리스트 내의 값3의 갯수를 세기 위해서는 ex_list.count(3)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개수를 세기 위해서 리스트의 맨 앞에 값 3을 추가한 후 실습해봅시다.
오늘 배운 내용들을 자유롭게 실습하여 본인의 실력을 키워보는시간을 가져봅시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12) 리스트의 연산과 수정, 삭제 (0) | 2019.11.18 |
---|---|
Python #11)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19.11.16 |
Python #10) 반복문 (0) | 2019.11.02 |
Python #9) 조건문 (0) | 2019.11.02 |
Python #8) 비트 연산자 (0) | 2019.11.02 |
- Total
- Today
- Yesterday
- DNS 마스터 슬레이브
- Python
- 자료형
- Linux DNS
- 연산
- 리눅스 설치
- DNS 이중화
- 연산자
- 반복문 예제
- 파이썬
- Linux
- Linux Web Service
- 동적타이핑
- 리눅스 Apache
- 연산 곱셈
- 리눅스 DNS
- CA
- 변수
- ssl
- 반복문
- 대화형 언어
- 리눅스 웹 서비스
- 연산 덧셈
- 리눅스 CA
- 파이썬 연산자
- 이중화
- FAILOVER
- 리눅스 아파치
- Linux 설치
- DHC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