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에선 파이썬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Python의 자료형은 C언어나 Java언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간단한 자료형인 Int, Float, String에서 다뤄보겠습니다.
datatype
1. Int
Int는 Integer의 약자로 정수 라는 뜻입니다. 흔히 말하는 음수와 양수를 포함한 숫자입니다.
2. Float
Float는 실수 라는 뜻으로, 흔히 말하는 소수를 말합니다.
3. String
String은 문자라는 뜻으로, 흔히 말하는 단어들의 집합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다른 언어들과는 다르게 변수를 선언할 때 자료형을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를 들어 C언어같은 경우
int a = 10; 이라는 형태로 선언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a = 10 이라고만 선언해도 a가 정수임을 인지합니다.
그러면 어떻게하면 a가 Int인지 확인할 수 있을까요?
그건 바로 type 이라는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함수의 개념은 나중에 다루겠지만 우선 사용하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a = 10 이라고 선언 후
type(a) 를 입력할 경우 출력되는 내용을 한번 살펴볼까요?
print는 입력/출력의 개념이라 다음 시간에 배우도록 할게요
결과는 다들 보셨다시피
<class 'int'>
이렇게 나오게 되죠.
자 그럼 소수와 문자의 형태도 아래의 실습창에서 실습해보도록 하고 다음 포스팅에서 만날게요~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6) 다양한 자료형 (0) | 2019.11.02 |
---|---|
Python #5) 자료형과 연산자의 응용 (0) | 2019.10.13 |
Python #3) 파이썬에서의 연산자와 변수 (0) | 2019.10.06 |
Python #2) 파이썬 설치 (0) | 2019.09.29 |
Python #1 ) 파이썬이란 그리고 그 특징 (0) | 2019.09.29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DNS 이중화
- 자료형
- 리눅스 설치
- 이중화
- DNS 마스터 슬레이브
- 리눅스 웹 서비스
- 리눅스 CA
- ssl
- 리눅스 Apache
- Linux Web Service
- 반복문 예제
- 리눅스 DNS
- 연산
- Python
- 파이썬
- Linux 설치
- 연산자
- 동적타이핑
- 리눅스 아파치
- 연산 덧셈
- 변수
- 대화형 언어
- 연산 곱셈
- FAILOVER
- Linux DNS
- DHCP
- CA
- Linux
- 반복문
- 파이썬 연산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